[호텔이야기16]2022년 4분기/연간 글로벌 호텔체인 & OTA 영업실적 현황 및 분석 : 클리앙

2022년 4분기 및 연간 글로벌 호텔 체인 및 OTA의 영업 실적 전해드립니다.


==========================================


출처는 우리나라의 전자공시시스템과 같은

미국 SEC의 Edgar 시스템이나,호텔이야기년분기연간글로벌호텔체인ampOTA영업실적현황및분석클리앙 각 호텔 체인의 IR자료 입니다.

* Edgar 시스템 : https://www.sec.gov/edgar/searchedgar/companysearch


소개할 기업과 영업실적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호텔 체인

-메리어트(Marriott)

-힐튼(Hilton)

-인터컨티넨탈(Intercontinental,IHG)

-아코르(Accor)(프랑스 체인; 유로화 실적 발표)

-하얏트(Hyatt)

* 5성급 호텔이 적은 윈담 등은 제외


→ 호텔 체인의 영업실적지표는

객실점유율(OCC; Occupancy)(단위:%),


ADR(Average daily rate, 평균객실료)(단위:$, 유로),


RevPAR(Revenue per available room, 가용객실 당 매출)(단위:$, 유로)

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② OTA(메타서치, 단기렌탈;공유숙박 등 포함)

-부킹홀딩스(Booking Holdings)(부킹닷컴, 카약, 아고다, 호텔스컴바인, 프라이스라인, 오픈테이블 등)

-익스피디아(Expedia)(익스피디아, 호텔스닷컴, 오르비츠, 트리바고, VRBO, 트레블로시티 등)

-에어비앤비(Airbnb)

* 영업실적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 Trip.com(트립닷컴, 舊.Ctrip;씨트립)은 제외


→ OTA의 영업실적지표는

RoomNights

(총 객실 예약 숙박일 수, 해당 OTA를 통해 판매된 객실 숙박일 수-1개 객실에 2박 하는 경우 2박으로 측정됨)(단위:박)(단, 익스피디아는 예약이 아닌 투숙한 숙박일 수;Stayed Room Nights)

- 에어비앤비는 "Nights and Experiences Booked"


Gross Bookings

(이용자 지불 총액, 해당 OTA를 통해 고객들이 지불한 금액-수수료가 아닌 실제 총 지불 금액, 숙소/항공/액티비티 등 포함)(단위:$/유로)

- 에어비앤비는 "Gross Booking Value"

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RoomNights는 좌축이 기준이며, Gross Bookings는 우축이 기준입니다.


==========================================


0. 전반적인 상황

전반적으로 지난 3분기에 비해서는 소폭 하락하는 모양새를 보였습니다.

다만 코로나 이전에도 3분기 대비 4분기의 실적이 하락했었기에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오히려 ADR은 여전히 코로나 이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럼 기업별로 살펴보겠습니다.


==========================================


1. 메리어트(Marriott)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1.png

메리어트의 객실점유율(OCC;Occupancy)은 3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습니다.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ADR(Average Daily Rate; 평균객실료)은 또다시 상승했습니다.

무려 8분기 연속 상승세네요. ㅎㄷㄷ

175달러도 돌파했습니다.

코로나 이전 하얏트의 ADR이 약 180달러 수준이었는데...

설마... 180달러를 돌파하진 않겠죠??;;;;


마지막으로 RevPAR(Revenue Per Available Room)는 객실점유율의 하락으로 소폭하락했습니다.

이같은 하락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이전 수준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② 연간실적

230305_?????22????01.png

메리어트의 객실점유율(OCC;Occupancy)은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약 9%포인트 정도 차이가 있네요.

ADR(Average Daily Rate; 평균객실료)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12달러 정도 더 높은 모습입니다.

RevPAR(Revenue Per Available Room)는 110달러 수준으로 코로나 이전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


2. 힐튼(Hilton)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2.png

힐튼의 OCC 역시 소폭 하락했습니다.

다시 70% 이하로 떨어졌네요.


ADR 역시 소폭 하락했습니다.

다만 코로나 이전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10달러 정도 높은 수치입니다.


RevPAR 역시 하락했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과 거의 동일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② 연간실적

230305_?????22????02.png

힐튼의 OCC 역시 아직 회복에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약 8%포인트 정도의 차이가 납니다.

ADR은 코로나 이전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150달러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RevPAR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


3. 인터컨티넨탈(Intercontinental, IHG)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3.png

인터컨의 객실점유율 역시 소폭 하락했습니다.


ADR도 소폭 하락했는데요.

그럼에도 여전히 코로나 이전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13달러나 높은 모습입니다.


위 두 지표가 하락했기에 당연히 RevPAR도 하락했는데요.

그렇지만 역시 코로나 이전 대비해서는 높은 모습입니다.


② 연간실적

230305_?????22????03.png

인터컨의 객실점유율 역시 코로나 이전 대비 약 9% 포인트 정도 낮은 모습니다.

ADR은 124달러 수준으로 코로나 이전 대비 약 8달러 정도 높습니다.

RevPAR는 76달러 정도로 코로나 이전 대비 약 5달러 낮습니다.


==========================================


4. 아코르(Accor)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4.png

유럽을 대표하는 아코르의 OCC도 역시 소폭 하락했습니다.

다만 다른 체인들에 비해서는 하락폭이 적은데요.

최근 미국인들의 유럽여행 러쉬로 유럽의 호텔들이 특수를 누리고 있다는 소리가 많은데

이러한 내용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ADR도 상승했습니다.

111유로를 돌파했는데요.

100유로도 돌파한 적이 없는 것 같은데... 어마어마 하네요.


RevPAR 역시 코로나 이전 대비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② 연간실적(단위가 유로인데 달러로 잘못들어갔네요)

230305_?????22????04.png

아코르의 OCC 역시 코로나 이전 대비 10% 포인트 정도 낮은 모습입니다.

ADR은 100유로를 돌파하며 코로나 이전 대비 11유로 정도 높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RevPAR는 62유로로 코로나 이전 수준을 사실상 회복했습니다.


==========================================


5. 하얏트(Hyatt)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5.png

하얏트의 객실점유율은 소폭 하락했습니다.

아무래도 럭셔리급 호텔들이 많다보니 OCC의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딘 모습입니다.

아직도 코로나 이전 대비 10%포인트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ADR은 다시금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거의 200달러에 육박하는데요.

정말 올해 1분기 결과에는 그래프 축을 조정해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RevPAR는 OCC의 더딘 회복으로 코로나 이전 대비 소폭 낮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② 연간실적

230305_?????22????05.png


하얏트의 객실점유율 아직도 코로나 이전 대비 12%포인트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확실히 럭셔리급의 회복이 아직은 더디나 봅니다.

ADR은 195달러 수준을 기록하며 코로나 이전 대비 13달러나 높은 모습입니다.

RevPAR는 코로나 이전 대비 약 15달러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


6. 부킹홀딩스(Booking Holdings)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6.png

OTA의 RoomNights는 호텔의 객실점유율과 비슷하게 판매량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부킹홀딩스의 RoomNights는 소폭 감소한 2.1억박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 비해서 여전히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Gross Bookings는 270억달러(약 35조원)를 기록했습니다.

여전히 코로나 이전 대비 높습니다.

기존 OTA로만 치면 부킹홀딩스의 성과가 가장 좋네요.


② 연간실적

230305_?????22????06.png

부킹홀딩스의 RoomNights는 코로나 이전 대비 약 5천만박 높은 8.9억박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어마어마 하네요.

Gross Bookings는 약 1,200억달러(약 156조원)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이전 대비 약 25% 상승했습니다. ㅎㄷㄷ


==========================================


7. 익스피디아(Expedia)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7.png

익스피디아의 RoomNights 역시 소폭 감소한 약 7,500만박을 기록했습니다.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네요.

Gross Bookings는 200억달러(약 26조원)를 기록했습니다.


② 연간실적

230305_?????22????07.png

익스피디아의 RoomNights 약 3억박을 기록했습니다.

아직 코로나 이전 대비 80%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Gross Bookings는 950억달러(약 123조원)를 기록했습니다.


==========================================


8. 에어비앤비(Airbnb)

① 분기실적

230305_?????22Q4??08.png

OTA의 RoomNight과 유사한 에어비앤비의 Nights and Experiences Booked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해 8,800만회를 기록했습니다.

Gross Booking Value는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한 약 135억 달러(약 17.5조원)를 기록했습니다.

두 수치 모두 여전히 분기 기준 최고치 입니다.


② 연간실적

230305_?????22????08.png

에어비앤비의 Nights and Experiences Booked은 3.9억회를 기록했습니다.

Gross Booking Value는 약 630억 달러(약 81조원)를 기록했습니다.

두 수치 모두 역대 최고치 입니다.


==========================================


과거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 2018~2021년 분기별 글로벌 호텔체인 & OTA 영업실적 현황 및 분석 

 : https://blog.naver.com/geniusjo1984/222700168738

* 2022년 1분기 글로벌 호텔체인 & OTA 영업실적 현황 및 분석 

 : https://blog.naver.com/geniusjo1984/222741920310

* 2022년 2분기 글로벌 호텔체인 & OTA 영업실적 현황 및 분석 

 : https://blog.naver.com/geniusjo1984/222849234188

* 2022년 3분기 글로벌 호텔체인 & OTA 영업실적 현황 및 분석 

 : https://blog.naver.com/geniusjo1984/222927498264


==========================================


여기까지 글로벌 호텔 체인 및 OTA의 실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사실상 코로나에서 회복이 마무리 되가는 모양새입니다.

과연 올해 1분기 실적은 어떨지 기대가 되네요.


이상입니다.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