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질병관리청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주간 확진자 | 90,주간코로나월주918명 (+2,673) |
일평균 확진자 | 12,988명 |
지난주 대비 증감 | +3.0% |
감염재생산지수 | 1.05(↓0.03) |
1.1. 주간 위험도 평가
전국 | 수도권 | 비수도권 |
낮음 (→) | 낮음 (→) | 낮음 (→) |
"사망자는 증가하였으나 신규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는 전주와 비슷한 수준임을 고려"
¶요약자 주:
지난주 평가 발언을 옮겨 오면 아래와 같습니다.
"신규 확진자, 신규 위중증 환자, 60세 이상 확진자가 증가 중이나 사망자의 감소 추세와 재원 위중증 환자, 사용 병상 수의 정체 상황을 고려"
확진자가 주간 18% 증가했을 때는 사망자가 줄어서 위험도가 괜찮다더니
확진자가 주간 3% 증가하니까 사망자는 늘었지만 확진자는 크게 늘지 않았으니 위험도가 괜찮다는 얘깁니다.
좀 그럴 듯하게,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그런 논평은 불가능한 겁니까, 안 하는 겁니까.
아니면 답이 정해져 있어서 끼워맞추는 겁니까.
1.2. 위중증, 사망
¶. 요약자 주:
위 그래프의 60세 이상 비중은 일평균 수치를 토대로 한 것으로, 실제 비중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 사망자 가운데 60세 이상 비중은 95.1%입니다. 주간 코로나 - 통계편 참조.
1.3. 확진자 발생
- 감염재생산지수 : 3월 4주차 이후 1 이상 유지. 지난주(1.08)대비 소폭 감소
- 30세 이상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증가
- 10만 명당 발생률 : 80세 이상(33.7명), 30대(32.2명), 70대(30.3명) 순
-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와 비중 모두 증가
1.3.1. 해외 유입 확진자
1.4. 대응 역량 분석
1.5. 변이 바이러스
- 변동 사항 : XBB. 1.16 별도 항목으로 분화